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6

건설주 분석 - 만년 저평가를 벗어날 수 있을까 문재인 정부 5년간 건설업은 특히나 주목받지 못했는데 EPS는 견조하게 성장하였지만 PER이 계속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코스피 전체에서 PER이 가장 낮은 섹터로 은행과 건설이 1위를 다투는 수준이었습니다. 대부분의 건설회사들은 PER 2~5 정도를 받았고 대형 건설사도 7을 넘기기 힘들었습니다. 이렇게 저평가를 받았던 이유는 규제 때문인데 정부 규제 한마디에 저평가의 이유가 설명됐었습니다. 앞으로 윤석열 정부에서는 민간주도 재건축, 재개발 및 리모델링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발표하였고 재건축 대상 아파트도 많아진 상황입니다. 그동안 한국 GDP 성장을 생각하면 왜 이렇게 녹물 나오는 아파트에서 힘들게 살도록 재건축을 못하게 막았는지 참 답답합니다. 입법부는 아직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행정부 권한만.. 2022. 3. 19.
아프리카TV - 플랫폼 기업으로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수 있을까? 21년 4분기 실적 요약 플랫폼 영역의 매출 비중이 74%로 가장 높은데 별풍선을 기반으로 해서 퀵뷰 구매 등에서 나오는 매출이고 광고는 아프리카 홈페이지의 배너광고나 PPL 등이 포함됩니다. 이 두 개 비즈니스 모델이 아프리카 TV를 먹여 살리고 있습니다. 비즈니스모델 분석 아프리카TV 매출의 핵심이 되는 플랫폼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별풍선입니다. 별풍선은 한 개에 100원 정도 하고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게 구독입니다. 유튜브 멤버십 가입처럼 매월 후원을 하는 구조입니다. 플랫폼 부문 매출 현황을 살펴보면 559억 원 정도가 나왔으며 별풍선뿐만 아니라 기능성 아이템 등이 포함됩니다. 매출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추세로 ARPPU 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ARPPU는.. 2022. 3. 19.
KB금융 - KB금융은 안전빵이지~ KB금융의 매출은 이자수익, 수수료 수익, 보험수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이자수익으로 21년도 기준 11조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22년도에는 증시 거래 대금의 감소로 비이자 이익은 감소될 전망이지만 시장 금리 상승으로 순이자 마진이 확대돼 이자 이익이 크게 늘어나 순이익이 상승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대선결과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면서 벌써 주택담보대출 완화에 대한 기사가 쏟아지고 있고 앞으로 주주환원 부분에 있어서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가파른 물가 상승률로 인한 은행들의 긴축 정책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의 신용 위험이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이어서 향후 은행 업종의 실적 개선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순이.. 2022. 3. 14.
사이버 보안 관련 ETF 앞으로 자율주행, 클라우드 서비스 등 데이터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 수밖에 없고 관련 데이터 리츠와 함께 데이터 보안에 대한 성장도 기대가 큰 상황입니다. 이에 사이버 보안 관련된 대표 ETF 3개를 정리했습니다. 1. CIBR 사이버 보안 산업 기업들에 유동성 가중 비중으로 구성합니다. Palo Alto Networks, Cisco, CrowdStrike 등을 41개 종목을 보유하고 있고 분기배당으로 현재 시가배당률은 0.6%입니다. 그리고 운용 수수료는 0.6%입니다. 2. HACK 사이버 보안 기술 및 서비스 기업에 투자합니다. 구성종목은 64개 종목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시가배당률은 0.27%입니다. 그리고 특이하게 비중 1위가 다른 ETF입니다.. 3. IHAK IHAK 도 사이버 보안 관련 기업.. 2022. 3. 13.
반응형